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피아노 삼중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피아노 삼중주는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로 구성된 실내악의 한 형태이다. 고전 시대에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낭만주의 시대를 거쳐 20세기 이후에도 중요한 실내악 편성으로 자리 잡았다. 피아노 삼중주는 현악 사중주와 함께 실내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다양한 작곡가들에 의해 수많은 작품들이 작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아노 삼중주 - 피아노 삼중주 (차이콥스키)
    피아노 삼중주 (차이콥스키)는 표트르 차이콥스키가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죽음을 추모하기 위해 작곡한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작품이며, 비가적 소품과 변주곡 형식의 두 악장으로 구성되어 약 47분 동안 연주된다.
  • 피아노 삼중주 - 피아노 삼중주 1번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이 1832년에 작곡하고 1840년에 초연한 피아노 삼중주 1번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낭만적인 선율을 보여주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의 중요한 실내악 작품이다.
  • 바이올린 - 전기 바이올린
    전기 바이올린은 공명통 없이 픽업으로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 재즈, 블루스에서 시작해 록, 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음악 연주에도 사용된다.
  • 바이올린 - 과르네리
    과르네리 가문은 17세기부터 18세기 이탈리아 크레모나에서 현악기 제작으로 유명했으며, 안드레아 과르네리를 시작으로 그의 후손들이 뛰어난 악기들을 제작하여 특히 "델 제수"라는 별명의 바르톨로메오 주세페 과르네리는 스트라디바리와 비견되는 명장으로, 과르네리 가문의 바이올린은 뛰어난 음색과 예술성으로 명성이 높다.
  • 피아노 - 디지털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는 전자 기술로 피아노 소리를 재현하는 건반 악기로, PCM 음원 방식으로 어쿠스틱 피아노 소리를 샘플링하여 사용하며, MIDI 연결, 볼륨 조절, 헤드폰 출력 등의 기능과 휴대성, 소음 감소, 정확한 음정 유지의 장점을 가지나, 수리 및 수명에서 단점도 존재하며, 다양한 형태와 제조사가 있다.
  • 피아노 - 피아노 조율사
    피아노 조율사는 피아노의 음높이를 조정하고 부품을 수리 및 조정하여 최상의 연주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자로, 피아노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국가별로 양성 과정과 자격 제도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피아노 삼중주
기본 정보
피아노 삼중주
피아노 삼중주
악기 구성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관련 음악 장르실내악
역사적 배경
기원고전 시대
발전낭만 시대
대표 작곡가요제프 하이든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프란츠 슈베르트
로베르트 슈만
펠릭스 멘델스존
요하네스 브람스
안토닌 드보르자크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형식 및 구조
일반적인 악장 구성1악장: 소나타 형식의 알레그로
2악장: 느린 악장 (안단테, 아다지오 등)
3악장: 스케르초 또는 미뉴에트
4악장: 론도 또는 소나타 형식의 알레그로
주요 작품
베토벤피아노 삼중주 1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1-1
피아노 삼중주 4번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11 ("가세엥")
피아노 삼중주 5번 라장조, 작품번호 70-1 ("유령")
피아노 삼중주 6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70-2
피아노 삼중주 7번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97 ("대공")
슈베르트피아노 삼중주 1번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898, D.898
피아노 삼중주 2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929, D.929
브람스피아노 삼중주 1번 나장조, 작품번호 8
피아노 삼중주 2번 다장조, 작품번호 87
피아노 삼중주 3번 다단조, 작품번호 101
쇼스타코비치피아노 삼중주 2번 마단조, 작품번호 67

2. 역사

바흐와 동시대(후기 바로크) 프랑스 작곡가 라모의 "콘체르토 형식에 의한 클라브생 곡집"은 건반 악기와 고음 선율 악기(보통 바이올린 또는 플루트)와 비올라 다 감바(음역은 첼로에 가까움)라는 편성이며, 고전파 초기의 피아노 삼중주와 비교해도 각 악기의 독립성이 높아 이를 피아노 삼중주의 맹아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피아노 삼중주"라는 제목의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소나타와 같은 전체적인 형식을 띤다. 초창기에는 3악장 형식이 많았지만, 하이든의 작품 중 일부는 2악장으로 구성되었다. 19세기 초, 특히 베토벤에 이르러 이 장르는 4악장 형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소나타 전통에 따라 구성된 피아노 삼중주는 해당 시대의 작품들이 공유하는 일반적인 관심사를 함께하며, 종종 작곡가의 소나타 형식에 대한 이해에 따라 개별 악장이 구성되어 교향곡 기법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고전 시대에는 가정에서의 음악 연주가 이루어지면서 피아노 삼중주는 다른 작품들을 편곡하는 데 매우 인기 있는 장르가 되었다. 예를 들어, 베토벤은 그의 첫 두 교향곡을 피아노 삼중주로 편곡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피아노 삼중주로 제목이 붙거나 번호가 매겨지지는 않지만,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많은 수의 작품이 존재하며, 이는 전체 장르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작품에는 베토벤의 '나는 재단사 카카두'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121a와 E 플랫 장조 변주곡 Op. 44와 같은 변주곡 세트뿐만 아니라 단일 악장도 포함된다.

고전 시대 이후에도 소나타 전통에 따라 제시되지 않거나 다른 작품의 편곡인 피아노와 두 악기를 위한 작품이 계속 작곡되었다. 이러한 개별 작품 중 많은 수가 콘서트 프로그램에서 인기가 있으며, 예를 들어 수크의 엘레지가 있다.

초기 삼중주는 현재 작곡 당시 의도했던 종류의 고악기를 사용하여 자주 연주되고 녹음된다. 이러한 연주는 작곡가가 기대했을 음향적 균형을 회복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2. 1. 고전주의 시대

하이든의 초기 작품 등에서는 바이올린과 첼로 파트가 피아노와 유니즌을 이루는 부분이 많았다. 소나타 형식이 확립된 이후, 바이올린 소나타와 마찬가지로 원래 형태는 피아노 소나타에 첼로와 바이올린의 오블리가토가 붙는 관습이었다.[1]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5개의 후기 작품에서 피아노 반주 소나타를 변형하여, 본질적으로 선택적인 첼로가 피아노 왼손의 베이스를 더블링하는 방식을, 실내악의 핵심 형식으로 자리 잡은 균형 잡힌 삼중주로 전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삼중주는 모차르트가 시작한 작곡 목표를 이어갔다. 새로운 평등의 개념은 완전히 구현되지 않았으며, 그것이 실현되는 정도는 한 작품에서 다른 작품으로, 그리고 단일 작품 내의 악장들 사이에서도 다양하다.

2. 2. 낭만주의 시대

하이든의 초기 작품처럼 바이올린 소나타와 마찬가지로, 피아노 소나타에 첼로와 바이올린의 오블리가토가 붙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다. 바이올린과 첼로 파트가 피아노와 유니즌을 이루는 부분도 많았다.[1]

19세기 초 베토벤 등의 작품을 통해 바이올린과 첼로는 피아노와 동등한 가치를 부여받으며 발전했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바이올린이 낭만적인 멜로디를 연주하기에 적합하다는 이유로 듣기 좋은 살롱풍 삼중주가 많이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낭만적인 속성을 피하려는 경향 때문에 이 편성이 극도로 기피되었지만, 1970년대 신낭만주의의 대두와 함께 재검토되었다. 현재는 트리오 피보나치 등의 단체에 의해 이 장르의 부흥이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이 장르가 고인을 추모하는 곡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글린카의 비창 삼중주를 시작으로, 차이콥스키어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에를 작곡했으며, 이후 아렌스키, 라흐마니노프, 쇼스타코비치 등으로 이어졌다.

2. 3. 20세기 이후

낭만주의 시대에는 바이올린이 낭만적인 멜로디를 연주하는 데 적합하다는 이유로, 많은 듣기 편한 살롱풍 트리오가 많이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낭만적인 속성을 피하기 위해 이 편성이 극도로 기피되었지만, 1970년대 신낭만주의의 대두와 함께 이 편성이 재검토되었다. 현재는 트리오 피보나치(Trio Fibonacci) 등의 단체에 의해 이 장르의 부흥이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에서 이 장르는 고인에 대한 추도곡으로 작곡되는 경우가 많았다. 글린카의 "비창 삼중주곡"을 시작으로, 차이콥스키는 "어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에"를 작곡했다. 이후 아렌스키, 라흐마니노프, 쇼스타코비치 등에게 계승되었다.

현재는 현악 사중주와 함께 실내악으로서는 가장 중요한 편성이다. 한편, 현악 사중주가 상설 단체에 의한 것이 대다수인 데 반해, 피아노 삼중주는 솔리스트에 의한 임시 편성이 대다수라는 차이가 있다.

3. 주요 작곡가와 작품

피아노 삼중주는 바로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작곡가들이 작품을 남긴 실내악 형식이다.

"피아노 삼중주"라는 제목의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소나타와 같은 형식을 띤다. 초기에는 3악장 형식이 많았지만, 하이든의 일부 작품은 2악장으로 구성되기도 했다. 모차르트는 후기 작품에서 피아노 반주 소나타를 변형하여 균형 잡힌 삼중주로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베토벤에 이르러 4악장 형식이 더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소나타 전통에 따라 구성된 피아노 삼중주는 해당 시대의 작품들이 공유하는 일반적인 관심사를 함께하며, 종종 작곡가의 소나타 형식에 대한 이해에 따라 개별 악장이 구성되어 교향곡 기법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고전 시대에는 가정에서의 음악 연주가 활발해지면서 피아노 삼중주는 다른 작품들을 편곡하는 데에도 인기 있는 장르가 되었다. 예를 들어 베토벤은 그의 첫 두 교향곡을 피아노 삼중주로 편곡하기도 했다.

다음은 피아노 삼중주를 작곡한 주요 작곡가와 작품 수이다(생년 순).



고전 시대 이후에도 소나타 전통에 따르지 않거나 다른 작품의 편곡인 피아노와 두 악기를 위한 작품이 계속 작곡되었다. 이러한 개별 작품 중 많은 수가 콘서트 프로그램에서 인기가 있으며, 예를 들어 수크의 엘레지가 있다.

3. 1. 고전주의 시대

요제프 하이든의 작품은 피아노 파트가 중심이 된다.[1] 바이올린은 특정 부분에서만 멜로디를 연주하고, 첼로는 피아노의 베이스 라인을 겹쳐 연주하는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렀다. 이는 당시 피아노의 약한 음색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2] 반면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5개의 후기 작품(쾨.496번 이후)에서 세 악기의 균형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피아노 삼중주 형식을 확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삼중주는 모차르트의 작곡 목표를 이어받았다. 그러나 세 악기의 완전한 평등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작품마다, 악장마다 그 정도가 달랐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세 악기 모두 충분히 강한 소리를 낼 수 있게 개량되어 현대적인 앙상블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삼중주는 작곡 당시 의도했던 종류의 고악기를 사용하여 연주 및 녹음되기도 한다. 이러한 연주는 작곡가가 기대했을 음향적 균형을 되살려내며 인기를 얻고 있다.

고전 시대에는 가정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피아노 삼중주는 다른 작품을 편곡하는 데 인기 있는 장르였다. 예를 들어, 베토벤은 자신의 첫 두 교향곡을 피아노 삼중주로 편곡하기도 했다.

작곡가작품 수
하이든48곡
모차르트6곡
베토벤7곡(번호 없는 작품 5곡 제외)
훔멜9곡
슈베르트2곡


3. 2. 낭만주의 시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삼중주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시작한 작곡 목표를 이어갔다. 19세기 중반에는 세 악기(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모두 매우 강력한 소리를 내도록 개량되었고, 각 악기는 현대 앙상블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삼중주는 작곡 당시 의도했던 종류의 고악기를 사용하여 자주 연주되고 녹음된다. 이러한 연주는 작곡가가 기대했을 음향적 균형을 회복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19세기에는 많은 작곡가들이 피아노 삼중주를 작곡했다. 다음은 주요 작곡가와 작품 목록이다.

작곡가작품 수주요 작품
슈베르트21번 내림 나장조 D.898 (op.99), 2번 내림 마장조 D.929 (op.100)
멘델스존21번 라단조, 2번 다단조
쇼팽1피아노 삼중주 사단조, 작품번호 8
슈만31번 라단조, 3번 사단조
브람스31번 나장조, 작품번호 8, 2번 다장조, 작품번호 87, 3번 다단조, 작품번호 101
차이콥스키1"어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 가단조, 작품번호 50
드보르자크44번 마단조("둠키"), 작품번호 90
포레1피아노 삼중주, 작품번호 120
드뷔시1피아노 삼중주
라흐마니노프2비가 삼중주 1번 사단조, 2번 라단조
라벨1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삼중주
생상스21번, 2번
클라라 슈만1피아노 삼중주
스메타나1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삼중주
아렌스키21번 라단조 op.32


3. 3. 20세기 이후

야나체크, 드뷔시, 시벨리우스, 르쾨, 라벨은 각각 1곡의 피아노 삼중주를 작곡했다. 라흐마니노프와 쇼스타코비치는 각각 2곡, 빌라로부스마르티누는 각각 3곡의 피아노 삼중주를 작곡했다.

고전 시대 이후에도 소나타 전통에 따르지 않거나 다른 작품의 편곡인 피아노와 두 악기를 위한 작품이 계속 작곡되었다. 이러한 개별 작품 중 많은 수가 콘서트 프로그램에서 인기가 있으며, 예를 들어 수크의 엘레지가 있다.

20세기 이후 작곡된 주요 피아노 삼중주 작품은 다음과 같다(일부):

작곡가작품명
아렌스키피아노 삼중주 1번 라단조
카터격언(2012)
아이브스피아노 삼중주, 1911
리스트헝가리 광시곡 9번 및 12번
라흐마니노프비가 삼중주 1번 사단조 및 2번 라단조
라벨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삼중주
쇼스타코비치피아노 삼중주 2번 마단조
브리지2곡
야시로1곡 (대학교 졸업 작품)


4. 일반적인 편성 이외의 피아노 삼중주

일반적인 피아노 삼중주 편성은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로 구성되지만, 드물게 다른 악기 조합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조합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뛰어난 작품들을 탄생시켰다.[1]

몇몇 주목할 만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요제프 하이든은 플루트, 첼로,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삼중주곡(Hob. 15/15-17)을 작곡했다.[1]
  • 카를 마리아 폰 베버는 플루트,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Op. 63을 작곡했다.[1]
  •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플루트, 바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G 장조, WoO 37 (1786)을 작곡했다.[1]
  • 요하네스 브람스의 호른,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내림 마 장조, Op. 40과 죄르지 리게티의 바이올린, 호른,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1982년)가 호른-바이올린-피아노 트리오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
  • 이그나츠 라흐너는 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를 위한 여섯 개의 피아노 삼중주를 작곡했다.[1]
  • 색소폰, 피아노, 타악기로 구성된 재즈 트리오 편성은 현대 클래식 음악 분야에서 대체 "피아노 삼중주"로 채택되었으며, 1994년부터 이 조합을 위해 100개 이상의 작품을 위촉한 트리오 아칸토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1] 이 레퍼토리를 연주하기 위해 다른 여러 트리오도 결성되었다.[1]

4. 1. 클라리넷, 비올라, 피아노

클라리넷 삼중주는 흔히 다음과 같은 곡들을 포함한다.

4. 2.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

4. 3. 클라리넷, 바이올린, 피아노


  • 바르토크 벨러|버르토크hu - 대비[1]
  • 다리우스 미요|미요프랑스어 - 모음곡 Op. 157b[1]
  • 아람 하차투리안|하차투리안ru - 모음곡[1]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스트라빈스키ru - 병사의 이야기[1]

4. 4. 그 외

드물게 사용되는 악기 조합에도 불구하고 몇몇 뛰어난 작품들이 영감을 받았다.[1]

작곡가작품명악기 편성
글린카"비창 삼중주"클라리넷, 바순, 피아노 (바이올린 또는 첼로로 대체 가능)[1]
풀랑크삼중주 (1926년)오보에, 바순, 피아노[1]
멘델스존삼중주 다단조 (유작)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1]
베버플루트,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Op. 63플루트, 첼로, 피아노[1]
베토벤피아노, 플루트, 바순을 위한 삼중주 사장조, WoO 37플루트, 바순, 피아노[1]
요제프 하이든플루트, 첼로,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삼중주곡 (Hob. 15/15-17)플루트, 첼로, 피아노[1]
호른-바이올린-피아노 트리오내림 마 장조 삼중주 작품 40 (브람스), 바이올린, 호른,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죄르지 리게티, 1982년)호른, 바이올린, 피아노[1]
이그나츠 라흐너6개의 피아노 삼중주모두 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1]



클라리넷을 포함하는 삼중주에는 모차르트의 ''케겔슈타트 트리오''와 베토벤, 브람스, 바르토크의 작품과 같은 걸작들이 있으며,[1] 더 많은 작품들은 클라리넷-바이올린-피아노 삼중주, 클라리넷-비올라-피아노 삼중주 및 클라리넷-첼로-피아노 삼중주에 나열되어 있다.[1]

; 클라리넷, 비올라, 피아노

클라리넷 삼중주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1]

작곡가작품
모차르트케겔슈타트 트리오 내림마장조 K.498[1]
슈만「동화」 Op.132 (1853년)[1]
브루흐8개의 소품 Op.83[1]
라이네케삼중주 내림나장조 Op.264[1]



;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

작곡가작품
베토벤피아노 삼중주 4번 내림나장조 Op.11 「거리의 노래」[1]
브람스클라리넷 삼중주 가단조 Op.114[1]



; 클라리넷, 바이올린, 피아노

작곡가작품
바르토크대비[1]
미요모음곡 Op.157b[1]
하차투리안모음곡[1]
스트라빈스키병사의 이야기[1]



색소폰, 피아노, 타악기로 구성된 재즈 트리오 편성은 현대 클래식 음악 분야에서 대체 "피아노 삼중주"로 채택되었으며,[1] 1994년부터 이 조합을 위해 100개 이상의 작품을 위촉한 트리오 아칸토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1] 이 레퍼토리를 연주하기 위해 다른 여러 트리오가 결성되었다.[1]

5. 현대의 피아노 삼중주단

카이사레아 극장에서 연주하는 이토민-스턴-로즈 트리오, 1961


다음은 현대의 유명한 피아노 삼중주단 목록이다.

국가삼중주단 이름구성원비고
오스트리아알텐베르크 트리오
네덜란드아마티스 트리오
독일ATOS-Trio|ATOS 트리오de베를린
독일마리아 밥티스트 [재즈] 트리오베를린
미국이토민-스턴-로즈 트리오유진 이스토민, 아이작 스턴, 레너드 로즈
20세기 초 트리오알프레드 코르토, 자크 티보, 파블로 카잘스
스피바코프스키 트리오야샤 스피바코프스키, 토시 스피바코프스키, 에드먼드 커츠20세기 초
미국칼리흐스타인-라레도-로빈슨 트리오
미국보자르 트리오해체됨, 모든 콘서트에서 동일한 연주자를 사용하는 데 전념하여 비슷한 헌신을 가진 새로운 세대의 그룹을 개척함.
영국싯코베츠키 트리오알렉산더 싯코베츠키, 우 치안, 이상이
이탈리아트리오 디 트리에스테다리오 데 로사, 레나토 자네토비치, 리베로 라나/아메데오 발도비노해체됨
미국"액스-킴-마" 트리오에마뉘엘 액스, 김영욱, 요요 마
미국에로이카 트리오
미국/한국안 트리오
미국보로딘 트리오
독일트리오 퐁트네
미국트리오 셀레스트케빈 콴 룩스, 이리나 크레치코프스키, 로스 가스워스
체코수크 트리오
영국플로레스탄 트리오
영국그리니치 트리오
캐나다그리폰 트리오
미국오버린 트리오
미국알마 트리오
스페인트리오 베가
미국트리오 칸딘스키
프랑스트리오 방데러
오스트리아하이든 트리오 아이젠슈타트하랄드 코시크, 하네스 그라드볼, 베른트 그라드볼/베레나 스토우르즈
독일밤베르크 트리오
체코페트로프 피아노 트리오
미국맨해튼 피아노 트리오
벨기에스피라레 피아노 트리오
미국소노르 트리오
미국바니치 트리오
오스트리아비엔나 피아노 트리오
독일슈투트가르트 피아노 트리오[3]
독일/네덜란드더 더치 트리오


6. 비슷한 형식을 가진 음악

참조

[1] 서적 Piano roles: Three hundred years of life with the piano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Classical Style: Haydn, Mozart, Beethoven https://archive.org/[...] Norton
[3] 블로그 Foto: touring Southern Africa http://classicalmusi[...]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